사케 (일본술)

사케

드라마0101 2011. 2. 27. 22:21


이러한 요소들에 의해 사케는 과일향이나 풍부한 향. 단려한 맛. 달콤한 맛등으로 나눠집니다. 사케의 라벨링 할때 분류기준은 정비도와 주조 기술. 구성원료. 그것의 콤비네이션에 따릅니다.
일본청주는 쌀의 정백도에 따라 고유한 명칭이 주어지는데, 같은 비율의 정백도라도 쌀의 종류와 산지에 따라 맛이나 유통 등급에 차이가 납니다. 긴죠나 다이긴죠급의 청주는 192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주조법으로 특유의 향이 있으며 최고급주로 칩니다.
   
 
분류
(Type)
정미율
(Rice Polishing Ratio)
특징
(Characteristics)
다이긴�
(大昑釀)
50%
(50%을 깍아낸 쌀)
낮은 온도에서 천천히 발효시킨 고급 프리미엄 청주로 우아한 향미와 부드러운 맛을 지닙니다.
긴죠
(昑釀)
60%
(40%깍아낸쌀)
신선한 과일 향과 부드러운 맛을 위해 정성을 다해 빚은 프리미엄 급 일본 청주입니다.
현대에 와서 다양해진 소비자의 입맛과 오랜 기간 축적된 노하우와 주조기술의 발전으로 일본 청주의 다양한 장르를 만들어냈습니다. 쌀의 정미율과 함께 새로운 주조기술을 결합하여 준마이-나마사케나 긴조-고슈와 같은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장르의 사케가 생산되게 되었습니다.
   
 
나마자케 (生酒) 나마죠조슈 (生貯藏) 고슈(古酒)
발효 후 미세필터를 거쳐 미살균된 채 병에 담겨집니다. 이러한 생산방식은 나마자케를 풍미 있고 신선하며 부드러운 특징을 가지게합니다.
발효후 병에 담기 전 저온 살균한 제품입니다. 나마조조는 전형적으로 과일향이 나는 향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청주를 빚어 장기간 숙성시키면 일반 청주에서 느낄 수 없는 무겁고 중후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청주가 됩니다.
현대에 와서 다양해진 소비자의 입맛과 오랜 기간 축적된 노하우와 주조기술의 발전으로 일본 청주의 다양한 장르를 만들어냈습니다. 쌀의 정미율과 함께 새로운 주조기술을 결합하여 준마이-나마사케나 긴조-고슈와 같은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장르의 사케가 생산되게 되었습니다.
   
 
쥰마이슈
(純米酒 ; 순미주)
혼죠조슈
(本釀造酒 ; 본양조주>
후츄슈
(普通酒 ; 보통주)
순수 쌀로빚은 청주란뜻을 가진 준마이슈는 쌀과 물만으로 고도의 기술과 정성이 필요한 고급술로 주 원료의 쌀의 맛이 느껴져야 합니다. 쥰마이 사케는 연한맛에서 진한맛 까지 다양하고 넓은 범위를 갖게됩니다.
정석으로 빚은 사케란 뜻의 혼죠조슈는 순미주로 가는 과도기에 생겨난 일본주로 앙조알코올의 첨가를 쌀 1ton에 120L미만으로 제한하고 고급쌀을 사용합니다. 양조알코올은 청주의 향을 조성하기 때문에 좋은비율로 조합된 청주는 더욱 고급스러운 향을 지닙니다. 보통주라는 뜻의 후츄슈는 일본에서 80%이상 소비되는 가장 대중적인 청주 입니다. 약간의 양조알콜의 첨가되며, 특별히 결정된 쌀의 정미율이나 주조방법은 업습니다. 후츄슈는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군입니다. 죠센이나 가센등급이 여기에 속합니다
(1) 일본주의 표시기준

일본 국세청이 만든 표시 기준에 의하면 사케는 품질을 나타내는 향·원료·제조법에 따라 순미주(純味酒), 음양주(吟釀酒), 본양조주(本釀造酒), 보통주 등으로 나누고 용기 등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사케의 등급 : 佳撰(가센) → 上撰(죠센) →特撰(도꾸센) →超特撰(초도꾸센)
(2) 사케의 명칭법

사케의 종류 및 주조방법 원료에 따른 명칭이 붙습니다.

예를 들면
정미도가 50% 인 쌀로 양조알콜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청주의 경우 100% 쌀을 사용했다는 쥰마이란 이름과 정미도의 분류에서 따온 다이긴죠 란 이름을 결합시켜 쥰마이 다이긴죠라는 이름이 탄생하게 됩니다.

또는 이찌시마와 같이 브랜드 이름과 더불어 40%가량 깍아낸 쌀로 빚은 청주의 이름을긴죠 이찌시마 라는 식으로 붙이는 것입니다.

고슈의 경우 월계관 로망긴죠 10년비장주와 같이 10년동안 숙성시킨 뜻을 가진 10년 비장주란 이름과 고급스러운 분위기의 로망이란 이름 그리고 40%가량 깍아낸 쌀로 빚었다는 긴죠 라는 이름이 붙어 완성됩니다.(참고로 비장주는 7년이상 숙성시킨 청주를 가르치는 명칭입니다)

사케의 명칭은 각 주조사에서 주조시 특징과 원료 및 정백도에 맞추어 이름을 명명하며 독특한 이름은 병의 디자인이나 소비층의 취향에 따라 명명되기도 합니다.

 

 

 사케 하면 정종을 먼저 떠올리는데요.
와인이 과실을 발효시켜 만든 양조주라면 사케는 곡물을 발효시켜 깨끗하게 걸러낸 증류주인 거죠. 일본에서는 청주를 뜻하는데, 정종도 청주의 일종이랍니다. 일본의‘마사무네’라는 브랜드의 술 이름이 정종이고, 일제 강점기에 정종이 대중화되면서 사케 하면 정종을 떠올리게 됐지요. 현재 일본에서도 1천8백여 개의 청주 브랜드가 있고 지방에서 만들어내는 지방 술(지사케라)까지 합치면 그 수는 엄청나지요.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월계관, 백학, 대관, 일본성, 송죽매가 가장 유명합니다.

Q 사케를 고르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와인을 고를 때 빈티지를 중요하게 여기듯 사케를 고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라벨에 적힌 술 이름, 사케 종류, 알코올 도수, 정미 배합, 제조자 및 제조 장소, 내용량, 제조 연월일은 물론 제조사에서 자체적으로 매기는 등급이 중요하게 작용하거든요. 사케 등급은 쌀의 품종과 물, 그리고 외피를 깎아낸 도정률, 밥 찌는 기술, 누룩의 질, 담금법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런 점은 와인과 많이 닮아 있어요.
라벨에는 청주(淸酒)라는 명칭이 표시되어 있고 일반주의 경우 죠센이라는 등급이 매겨집니다. 쌀이 많이 들어간 술일수록 좋은 술이라고 할 수 있지요. 100% 쌀로만 빚었다는 준마이가 최고급 술이고, 다이긴죠→긴죠→혼죠조→죠센 순이지요. 알코올 도수는 15도 이상 16도 이하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플러스 수치가 높을수록 쓴맛이 강하고 센 술이고 마이너스 수치가 높을수록 단맛이 강하죠. 초보자라면 -2 정도의 달콤하고 부드러운 사케를 권합니다.

Q 등급 말고도 구분하는 방법이 있나요?
와인을 산도가 높을수록 무겁고, 산도가 낮을수록 가볍다고 표현하는 것처럼 사케도 마찬가지예요. 한 가지 다른 점이 있다면 아미노산의 양인데, 수치가 높을수록 끈끈하게 달라붙는 진한 맛이 나고 낮을수록 산뜻한 맛이 강해집니다.

Q 사케를 마시는 데도 방법이 있다고 하던데요.
쌀로 빚어낸 사케는 와인처럼 향까지 즐기는 술이에요. 마시기 전 코로 향을 느끼고 입 안에 술을 담고 입 전체에 굴리면서 뒷맛을 느껴보세요. 강한 향을 없애고 싶을 때는 살짝 데워 마시기도 하지요. 긴죠 이상의 프리미엄급 사케는 차게 해서 먹는 것이 좋아요.

Q 사케를 제대로 마시기 위해 갖춰야 할 매너가 있다면요.
와인처럼 향을 음미하기 위해 테이스팅하거나 잔에서 2~3cm 떨어져 따라야 한다는 테이블 매너는 따로 없어요. 소주를 마시듯 주도에 맞게 즐기면 되는 거죠. 샴페인은 길고 좁은 잔, 레드와인은 밑이 넓고 오목한 잔에 마셔야 한다는 것처럼 마도구리(호리병)에 담아 도자기 잔에 따라 마시거나 네모난 마쓰 잔(일본 대나무 전통 잔)에 마셔야 제 맛이지요.

Q 사케와 함께 먹는 안주를 주문할 때 주의할 점이 있다면요.
와인처럼 와인 종류에 따라 어울리는 안주가 있듯 사케 역시 마찬가지예요. 쓴맛이 강한 드라이한 사케는 부드럽고 달콤한 메뉴를, 반대로 가볍고 달콤한 사케는 칼칼한 안주를 곁들이면 됩니다.

전문가가 추천하는 가격대별 사케 리스트
1. 1만원대·오제끼노 나마
생맥주처럼 누룩을 발효시켜 일절 열을 가하지 않고 막 증류한 청주. 효모가 살아 있기 때문에 맛과 향이 신선하다. 13~14도 300㎖·니혼슈코리아
2. 2만원대·히까리 마사무네
자국 내 청주를 보급시키기 위해 스페셜한 제조 방식을 거쳐 만들어진 청주. 감칠맛 나는 첫맛이 일품이다. 14.9도 720㎖·월계관코리아
3. 3만원대·아사히야마 720
쿠보타, 아사히야마 시리즈로 유명해진 아사히주조에서 야심 차게 제조한 제품. 기본 등급인 죠센에 속하며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맛. 15.5도 720㎖·니혼슈코리아
4. 4만원대·가모츠로 혼죠조 가라구치
히로시마 현을 대표하는 가모츠로의 청주. 죠센(기본 등급)보다 한 등급 높은 혼죠조에 속하며 육각 결정체를 이루고 있는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호쾌하고 깔끔한 맛이 느껴진다. 15~15.9도 720㎖·니혼슈코리아
5. 5만원대·메이보 요와노 츠키
뉴욕의 일식 레스토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사케. 일명 Midnight Moon이라 불리며 준마이 긴죠에 속하는 프리미엄급. 순하고 부드러운 맛이라 젊은 여성들이 즐겨찾는다. 15.8도 500㎖·니혼슈코리아
6. 6만원대·준마이
누룩의 진한 향이 느껴지고, 부드럽게 넘어가는 것이 특징. 2006년 MONDE SELECTION 금상 수상의 최고급 청주. 15도 720㎖·월계관코리아
7. 7만원대·핫까이산 혼죠조
고급스러운 향을 가진 청주. 긴죠급의 정미율(40%)로 장기 저온 발효시킨 제품. 담백하고 부드러운 맛이 난다. 15도 720㎖·니혼슈코리아
8. 8만원대· 데와자꾸라 준마이 긴죠
11년 연구 끝에 품종 개발에 성공, ‘데와산산’ 원료미를 탄생시킨 기념으로 만든 술. 입 안에 머금고 있으면 바나나 향 같은 은은한 향과 단맛이 느껴진다. 18.5도 720㎖·니혼슈코리아
9. 9만원대·준마이 다이긴죠
정백도 50% 이상 깎아 빚은 최고급 프리미엄 청주. 입 안에 배어나는 향이 고급스럽고 기분 좋은 잔향이 남는다. 16.7도 720㎖·월계관코리아
10. 10만원대·온나 나카세
오무라야 주조장 최고의 술로 꼽히는 청주. 알코올 향이 전혀 느껴지지 않고 부드럽게 넘어간다. 16~16.9도 720㎖·니혼슈코리아
11. 누벨 겟께이깐 도꾸메스
혼죠조의 프리미엄 청주. 맑고 세련된 긴죠 향이 어우러진 맛. 720㎖ 5만5천원.
12. 하쿠류 준마이 다이긴죠
시원한 향이 나서 마시면 기분이 좋아지는 사케. 쌀눈 부분을 고도 도정하여 다음 날 숙취가 없다. 720㎖ 13만원.
13. 기린 다이긴죠
낮은 온도에서 천천히 발효시킨 고급 청주. 은은한 긴죠 향과 알코올 기운을 전혀 느끼지 못할 정도로 부드럽고 깔끔하다. 320㎖ 9만원.
14. 마이히메의 준마이 긴죠
마이히메는 ‘춤추는 공주’라는 뜻을 가진 깔끔한 맛의 프리미엄급 사케. 720㎖ 10만원.